AI 도구 활용 블로그 시리즈

피그마(Figma) 협업 제대로 하는 법: 실무자용 가이드

mousedust 2025. 3. 28. 18:11

✅ 피그마(Figma) 협업 제대로 하는 법: 실무자용 가이드

Figma는 단순한 디자인 툴이 아닙니다. 실시간 협업, 피드백, 버전 관리까지 가능한 디자인 협업 플랫폼으로, 제대로 활용하면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기획자, 개발자 모두에게 효율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피그마의 협업 기능을 중심으로,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꿀팁들을 소개합니다.


1. 🔁 실시간 협업: 동시 작업의 핵심

Figma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 여러 명이 동시에 같은 파일을 작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디자이너, 기획자, 개발자가 동시에 접속해 실시간 피드백 가능
  • 커서 이름으로 누가 어디를 보고 있는지 확인
  • 기획자는 구조 코멘트, 개발자는 구현 가능성 확인 등 역할 분담

👉 Tip: 작업자가 많은 경우 “Observation Mode”를 활용해 특정 사용자 화면 따라가기 기능도 유용합니다.


2. 💬 코멘트 기능으로 명확한 피드백 주고받기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별도의 메신저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 코멘트 모드로 전환 → 원하는 위치 클릭 → 피드백 남기기
  • 답글로 스레드 형태 유지
  • @멘션 기능으로 특정 사용자 알림 가능
예시:
@junho 여기 버튼 텍스트 너무 길어 보여요. 2줄로 줄이는 건 어때요?

💡 Tip: 피드백을 해결하면 “Resolve”로 정리할 수 있어 추적도 깔끔해요.


3. 🛠️ 팀 라이브러리로 디자인 시스템 통일

Figma에서는 디자인 요소(컴포넌트, 색상, 텍스트 스타일 등)를 팀 단위로 공유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기능이 있습니다.

  • 공통 버튼, 아이콘, 카드 등을 컴포넌트화하여 재사용
  • 디자인 스타일(폰트, 색상 등)을 팀 전체가 동일하게 사용 가능
  • 변경 시 자동 업데이트되어 관리가 편리

👉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기능 중 하나로,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수정 부담을 줄입니다.


4. 📐 버전 관리 기능으로 작업 히스토리 보관

디자인이 자주 바뀌는 프로젝트일수록, 과거 버전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 Figma는 자동 저장 기능을 제공하며, 모든 작업 내역이 기록됨
  • File → Show Version History에서 시간별로 되돌아갈 수 있음
  • 중요 시점엔 버전 이름 지정도 가능 ("1차 기획안", "최종안")

💡 Tip: 실수로 잘못된 요소를 삭제했더라도 언제든 복구할 수 있습니다.


5. 🔄 개발자와 협업을 위한 Inspect 모드

Figma는 개발자에게도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 디자인 요소 클릭 시 CSS, iOS, Android 코드 자동 제공
  • 개발자는 별도 계정 없이 읽기 전용 권한으로 접근 가능
  • Export 설정을 통해 아이콘, 이미지 리소스 바로 다운로드

👉 Tip: 개발과 디자인 간 핸드오프(인계)가 훨씬 쉬워집니다.


6. 🔗 플러그인으로 협업 툴 연동

Figma는 다양한 플러그인과 연동이 가능합니다. 특히 협업에 유용한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FigJam: 협업용 화이트보드로 아이디어 정리 및 워크숍
  • Google Sheets Sync: 시트 데이터를 직접 디자인에 연결
  • Content Reel: 가짜 텍스트 대신 실제 텍스트로 디자인 테스트

💡 Tip: 팀 회의나 피드백 회의 때 FigJam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 마무리하며

Figma는 단순한 디자인 툴이 아닌 팀 전체의 커뮤니케이션 허브가 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작업, 피드백, 버전 관리, 코드 전달까지 한 곳에서 해결 가능하죠.

오늘 소개한 기능들을 익히면 디자인 생산성과 팀워크 모두를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특히 기획자나 개발자와의 협업이 많은 실무자라면 Figma를 꼭 마스터해보세요.